Certification

AWS-Advanced-Networking-Specialty

AWS Certified Advanced Networking – Specialty

오늘 5월 17일 ANS를 합격했다.

5월6일에 SCS를 보고난 후 개인적인 도전과...
스스로에 대한 점검의 의미로 ANS를 바로 도전하기로 생각했다.

GCP-PCA-PCNE를 이어서 보면서 AWS 의 Networking 자격증 또한 취득하고 싶었다.

그래서 5월6일 SCS를 합격하자 마자 그날부터 ANS를 공부했다.

먼저 jayendrapatil님의 블로그를 이전부터 봐왔기에 ANS 가이드와 정리가 있다는것을 알고 있었다. 그래서 먼저 정독했다.

https://jayendrapatil.com/aws-certified-advanced-networking-speciality-ans-c00-exam-learning-path/

그리고 나름의 계획을 세워서 Docs 정독과 BGP - Direct Connect 를 주로 공부했다.
그외의 과목들은 SAP와 실무에서 자주하던 내용이라 깊게 고민하진 않았다.

계획대로 잘되나 했는데..연습시험이 없었다......왜??????????????
ANS만 연습시험이 없다...하...깜짝놀랐다.

Security Group 나 NACL Routing table 같은거나 VPC 디자인 같은 내용들은 SAP / SCS공부를 하면서도 반복한 내용인지라 따로 추가적인 공부를 하지 않았다.

가지고 있는 기본지식으로 문제를 풀수있을거라 생각했으므로..

DX의 사용방법이나 trensit VPC / DX HA / cloud hub 구성에 대해서 많이 찾아봤다.

Redunant Direct Connect 아키텍처

이런 이미지 들로 주로 DX를 이해하려 했다. 그리고

https://dev.classmethod.jp/?s=Direct+Connect

일본의 AWS 파트너사인 Classmethod의 블로그를 참고했다.

간밤에는 오픈카톡에서 김용대님 신승광님 서노아님 등 여러분들이 참전하셔서 길을 찾아주셨다.

https://open.kakao.com/o/gMCqYXxb

여러분들과 운영해 나가는 자격증 오픈챗팅방이다.

그렇게 다양한 자료들을 흡수하며 DX를 이해하고 구성을 그렸다.

사실 잘 이해안가는건 BGP도 아닌 DX의 큰그림이 었기 때문이다.

DNS / VPC / DHCP option set 같은건 익숙했다.

그렇게 5일가량은 DX를 공부했다. 제일 도움이 됬던건

https://d1.awsstatic.com/whitepapers/aws-amazon-vpc-connectivity-options.pdf

Amazon Virtual Private Cloud Connectivity Options - white paper 정말 도움이 많이되었다.

그렇게 많은것들을 보고나서 오늘 종로 솔데스크에서 시험을 봤다.

시험을 완료하자마자 성적표가 날아왔다.

총점:  80%
주제별 등급점수:
1.0  Design and implement hybrid IT network architectures at scale: 83%
2.0  Design and implement AWS networks: 85%
3.0  Automate AWS tasks: 100%
4.0  Configure network integration with application services: 71%
5.0  Design and implement for security and compliance: 83%
6.0  Manage, optimize, and troubleshoot the network: 57%

다음과 같이 성적표까지 바로 발송되었다. 아슬아슬 했다고 생각한다.

여담으로 AWS의 시험시스템이 변경되었다고 이전에 언급했는데 당일에 점수와 결과가 발송된다.

그동안 너무 느린처리에 좀 불안하기도 하고 답답했는데 빨라져서 너무 다행이다.

일정대로 목표한 공부를 마쳤다.

시간이 난다면 sysops를 볼거 같다.

다음시험은 AZ-301을 취득하려 한다.

읽어주셔서 감사하다.

ANS 후기를 마친다.

AWS Certified Security-Specialty-review

5월6일 SCS 시험을 봤다. 결과는 합격이다.

5월4일 연습시험을 봤는데...

 AWS Certified Security Specialty - Practice 시험에 응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정보를 살펴보고 준비가 더 필요한 주제를 확인하십시오.
총점: 65%
주제별 채점:
1.0  Incident Response: 66%
2.0  Logging and Monitoring: 75%
3.0  Infrastructure Security: 83%
4.0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50%
5.0  Data Protection: 33%

65% 나와서 정말 많이 당황했다. 그래서 공부를 더 많이했다.

시험을 보게된 계기는 master.seo 님의 URL 공유로 부터 시작되었다.
udemy 강의가 무료로 풀려서..그걸 한번 봤는데 반타작이 가능했다.

각이보이길래 바로 준비했다.

SCS는 IAM / Policy / KMS 가 비중이 높다.

나머지는 SAP를 준비하면서 기본개념을 익힌것으로 커버가 가능한 수준이다.
실무에서 또한 ISMS관련한 작업을하면서 익힌 내용도 은근 포함되었다.

공부하면서 개념정리를 위해 작성한 노트는 링크를 확인하시길.

이제 다음 자격증인 ANS를 준비해야겠다.

각을 보여주신 Master.seo님께 감사를 드린다!

아래는 Master.seo님의 브런치다!

https://brunch.co.kr/@topasvga

GCP-Professional-Cloud Network-Engineer-PCNE-review

4월 16일 Professional Cloud Network Engineer 2차 시험에 합격했다.

3월 9일 1차 응시를 했고 보기좋게 떨어졌다. 공부가 부족했다.

4월 3일 AZ-300 시험을 보고 다시 PCNE를 준비했다.

2주의 기간동안 정말 많은 공부를 했다.

지금까지 얕게 가지고 있던 GCP의 개념들을 DOCS를 보면서 재검토하고 다시 받아들였다.

뭔가 모르는게 많았다.

사실 프로토콜이나 LB같은 개념 BGP 라우팅 이런것들은 이해하고 있던거라 어렵지 않았는데 GCP 자체적인 제한이나 방법 그리고 권한 명령어 Docs 의 상세함. 이런것들이 이전에 내가 시간에 쫒겨 보던것과 달리 찬찬히 보게되니 굉장히 많은 도움이 됬다.

과목을 늘어놓자면

https://cloud.google.com/vpc/docs/vpc-peering?hl=ko
https://cloud.google.com/vpc/docs/firewall-rules-logging
https://cloud.google.com/kubernetes-engine/docs/how-to/alias-ips#defaults_limits
https://cloud.google.com/vpc/docs/shared-vpc?hl=ko
https://cloud.google.com/vpn/docs/how-to/moving-to-ha-vpn
https://cloud.google.com/load-balancing/docs?hl=ko
https://cloud.google.com/cdn/docs/cache-invalidation-overview?hl=ko
https://cloud.google.com/interconnect/docs/concepts/overview?hl=ko
파트너 전용
https://cloud.google.com/vpc/docs/special-configurations
https://cloud.google.com/vpc/docs/configure-private-google-access

영어에 약하다보니..한글 매뉴얼로 읽고 다시한번 영문 매뉴얼로 읽고 반복했다.

1차시험준비 때는

https://github.com/sathishvj/awesome-gcp-certifications/blob/master/professional-cloud-network-engineer.md

위의 페이지를 참고했다.

Ivam Luz 의 블로깅이 굉장히 많은 참고가 됬다.

시험장은 문정 시험장을 두번다 다녀왔다.

확정메일은 하루정도 만에 왔고 자격증 스토어엔 아래 3개의 품목이 있었다.

여러번 저건 꼭내꺼다 했던..JBL Clib3 를.. 주문했다..

-_-; 이상하게 이름이 아니라 메일주소로 자격증이 발급됬다.

이로서 GCP 자격증 두개를 가지게 되었다.

같이 스터디를 진행해 주신 수진님께 감사를 드린다.

Azure-AZ-300-Microsoft Azure Architect Technologies

AZ-300: Microsoft Azure Architect Technologies 취득 후기

3월부터 4월2일까지 내내 공부했다.

하루에 한시간은 꼭 공부했다. 재택근무도 도움이 됬다. 시험일정을 잡는걸 좀 급하게 잡아서 걱정이 많았지만 그래도 이렇게 급할때 더 집중이 잘됬다.

시험은 Technologies 에 대한 시험인 만큼 범위가 넓었다.

network / storage / ad / db / backup / vm / aks / docker / logic app / appweb

등 다양한 방법과 용도에 대해서 묻는 시험이 대부분이었다.

azure 시험은 유독 독특하다.

하나의 주제에대해서 정확한 답을알면 여러 문제를 풀수있고 케이스에서 요구하는 문제는 적절한 답안을 내야한다. 또한 lab 문제는 계정을 주고 로그인해서 셋팅하는 방식이다.

또한 한번풀면 다신 풀수없는 문제도 있다.

az-301취득까지 목표니까..

기세를 살려 5월중순엔 az-301 취득이 목표다.

같이 공부해주신 민형님 / 재호님 / 진국님 / 수현님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

aws-saa-c01-c02

saa-c01 시험이 2020/06/30 까지 만료일자가 연장되었습니다.

6월 30일 이후 C01 유형은 만료되어 더이상 시험을 볼수 없게 됩니다.

C02유형으로 만 시험을 볼수 있게 됩니다.

C01을 준비중이라면 서두르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