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rtification

11 x AWS Certification

저는 System Engineer 였습니다.

레거시중의 레거시에 위치한 hosting 을 제공하는 회사에 있었습니다.

하드웨어 서버에 익숙하고, 서버의 자원을 조금이라도 잘쓰기 위해서 여러 방안을 강구하고 매일 테스트했습니다.

자동화 설치를위해서 Clonezilia로 PXE 자동화 설치를 만들고, Hyper-V기반의 DB호스팅을 만들며, 이런저런 오픈소스를 테스트하고, L4, WAF, IPS등 여러 장비들을 다룰줄알고 셋팅도 하였지만, 남들보다 조금 손이 빠른 그저 그런 잡부중 하나일 뿐이었습니다.

그러던 중에 AWS를 만나며, 새로운 세상을 만났습니다. 그동안 힘들었던 서버 설치는 버튼클릭 몇번이면 되고, 비싸서 사용할수 없었던 솔루션, 고객에게 추천하기 어려웠던 구성들까지 그 야말로 세상의 관념이 변하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그게 2017년이었습니다.

2017년 11월 부터 자격증을 취득하였습니다.

제 시험기록입니다. 10월 21, 2017 - 1월 03, 2022 까지입니다.

59217 번대의 등록번호에서 2163089번대의 등록번호입니다.
200만명을 시험보는동안 11개의 자격증을 취득한것입니다.

시험은 중간에 3번정도 변경되었습니다. Big data / alexa / data analytics 등으로 생기고 없어졌습니다. 지금 Beta에 있는 ERP SAP도 있지만 이건 무시하겠습니다.

시험을 보고 공부하고, 시간이 지나며, 2017년부터 저는 많이 변했습니다.

호스팅업체의 SE에서 지금은 CSP의 SA로 일하고 있습니다.
SE로서 길렀던 능력은 다양한 시스템을 겪고 트러블을 해결하면서 어떤시스템도 어렵지 않게 파악할수 있는 능력이 생겼고, 이 능력을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와 솔루션을 연계하고 옳은 방향으로 비즈니스를 이끌수 있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그 덕분에 SA로 일할수 있게 되었습니다.

직무를 수행하면서 뿐만아니라 자격증을 공부하고 테스트하면서 간접적으로 느끼고 배운것들까지 저에게 녹아들면서 아키텍팅에대해서 자신감이 붙었습니다.

그러면서 저또한 공부하는 버릇이 붙었고, 그게 저 자신을 만들어갔습니다.

8년차까지 자격증에 대해서 전혀 관심도 없던 저였는데, 어느순간 18개가 넘는 자격증을 취득하게 되었습니다.

자격증은 전문가라는 뜻이 아닙니다. 관심이 있고, 공부를했다는 증명인것입니다. 이것을 업무에 녹이는것은 또 개인의 능력이나, 클라우드 프로바이더의 자격증은 일종의 롤플레잉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질문을 던지기 때문에 유사경험이 가능하고, 이것은 나중에 업무를 처리할때 기준을 제시할수 있습니다.

이제 AWS의 11개의 자격증을 모두 취득함으로 소기의 목적을 달성했습니다.

정말 기분이 좋아서 치킨시켜먹었습니다.

정말 쓰고싶은 말이 많았는데, 막상 키보드위에 손을 올리니 정리가 안되네요.

언제든 도움이 필요하신분은 아래 오픈채팅으로 들어오세요.

https://open.kakao.com/o/gMCqYXxb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AWS Certified Data Analytics - Specialty - DAS-C01 - Review

Data Analytics 까지 시험을 봤습니다.

이 사태의 원인은 세웅님이었습니다.
치명적인 속도로 AWS 자격증을 클리어하는 것이 제가 나태한것 같이 느껴졌습니다.

그래서 MLS를 끝내고 DAS를 바로 시작했습니다.

DAS는 DBS-DAS-MLS 순으로 보면 좋은시험 같았습니다.

DAS는 주로 ETL 과 Analytics에 관련한 문제가 나옵니다.

https://jayendrapatil.com/aws-certified-data-analytics-specialty-das-c01-exam-learning-path/

제 블로그를 봐온 분들이라면 다들 아시겠지만 저는 jayendra 님의 블로그로 먼저 시험을 준비합니다. 도메인 분리도 잘되어있고, 요약정리가 정말 깔끔하기 때문입니다.

요약정리를 다 읽고 AWS에서 주로 사용할 서비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kinesis stream와 firehose 의 차이를 알면 정말 편해집니다.

firehose는 거의 실시간으로 동작하는 실은 1분마다 동작하는 batch 에 가깝습니다.

또 너무 비싸서 사용해볼수 없는 redshift는 경험을 쌓기 너무 어려우므로 docs가 닳도록 읽었습니다.

그외엔 사실 AWS에 익숙하다면 반쯤은 상식으로 먹고 들어가는 내용들이 많기때문에
-SAP를 취득하지 않았다면 먼저 취득하고 오십시오...(?) -
-DBS를 취득하지 않았다면 먼저 취득하고 오십시오...(?) -
아직 SAP가 없는 상태라면 SAP취득을 추천합니다.

실제로 시험은 모르는 내용이 아주 많았습니다.

하지만 풀수는 있었습니다. 샤딩이 뭔지 파티셔닝이 뭔지 ETL이 뭔지 등등 기본적인 개념들을 알고있다면 질문하는 의도와 정답을 알수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stram 과 firehose 를 비교하게 되는 문제에서 실시간인지 거의 실시간인지만 파악할수 있다면 선택지를 하나를 줄일수 있게 되는것입니다. - 이것이 시험공학-

이번에 연습시험을 보려고 하니, 결제가 되지않았습니다. 바우처는 발급이 되었는데..

이젠 바우처를 사용하지 않아도 연습시험을 볼수있습니다.

AWS 에서 제공하는 무료 연습시험 모음집
11가지 시험의 연습문제를 제공해줍니다.

이렇게요!

DAS 연습문제를 각잡고 풀어본결과 70%가 나왔습니다.

시험은 미루지않는 것이 지론이고 떨어지면 칼을갈아서 다시 보면 되는거지만 벼랑끝에 매달린 심정으로 안되는 공부를 억지로 이어갔습니다.

그리고 오늘 오전일찍 시험을 봤습니다.

두구두구두구구두구 827점으로 통과.

그런데 이게 조금 아쉽긴 합니다. 만반의 준비를해서 시험이 수월하지않고, 요령으로 푼문제가 많아서 조금 아쉬웠습니다. 그렇지만 꼭 해내고 싶었고 자격증을 취득하였습니다.

2017년11월 부터 시작해서 2022년 1월까지의 장점이 마무리되었습니다.

제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AWS Certified Machine Learning - Specialty - MLS-C01 - Review

오랜만의 자격증 글입니다.

최근에 책한권을 추천받았습니다.

기계학습을 다시묻다 라는 책이었습니다.
이광근 교수님의 번역에 대한 생각과 이해를 볼수있는 책이었습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너무너무너무너무 이해가 안갔습니다.
그 동안 머신러닝을 지속적으로 찍먹을 하던터라 읽을만 하지 않을까? 했는데 아니나 다를까 수포자에겐 자비가 없었습니다.

그렇지만, 근일년간 쿠버네티스와 머신러닝을 찍먹하면서 내가 머신러닝을 실무에 적용하고 쓸수있는 레벨은 아니지만 어떤기술이 어디서 사용된다 정도는 이해하고 있던터라 한번 과감하게 시험날자를 잡았습니다.

등급: Specialty
시간: 시험 완료까지 180분 소요
비용: 300 USD 

형식: 65개 문항, 다항 선택 또는 복수 응답
제공 방법: Pearson VUE 및 PSI. 테스트 센터 또는 온라인 유감독 시험

12월 24일 아침9 시 였습니다.

저의 시험의 시작은 보통 Jayendra 님의 블로그입니다.

https://explore.skillbuilder.aws/learn/course/external/view/elearning/27/exam-readiness-aws-certified-machine-learning-specialty

AWS에서 제공하는 연습시험 준비

https://docs.aws.amazon.com/ko_kr/sagemaker/latest/dg/algos.html

Sagemaker의 알고리즘표

기본적으로 AWS Docs/FAQ 찬찬히 여러번 읽는것부터 추천
저는 sagemaker의 핸즈온을 해본적이 있고, AWS에 익숙한 편이라 알고리즘 부분을 빼면 대부분 아주 수월하게 읽을 수 있었습니다.

jayendra 님의 정리된 내용이 너무 간결하고 좋아서 깊이있는 이해나 UI에서 어떤것들을 지원하는지 보면됩니다.

그리고 대망의 22일 연습시험을 봤습니다.

아아…그런건가 현대차.. - 주식 게시판 - 에펨코리아
 Jeong Taehwan님, 안녕하세요?
 AWS Certified Machine Learning - Specialty Practice 시험에 응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정보를 살펴보고 준비가 더 필요한 주제를 확인하십시오.
총점: 55%
주제별 채점:
1.0  Data Engineering: 100%
2.0  Exploratory Data Analysis: 60%
3.0  Modeling: 25%
4.0  Machine Learning Implementation and Operations: 75%

아아..이것이 탈락의 느낌인가..

예..22일 연습시험이 55%로 너무 불안했습니다.

그리고 그 다음날은 약속도 있어서 예상한 만큼 공부를 할수있을지도 몰랐습니다.

그 약속의 감동

그 불안감이 점점 커져가며 저를 긴장하게 만들었고, 집중할수 없는 순간에도 알고리즘을 찾아보며, 내가 뭘모르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힘썼습니다. 그리고 시험은 AWS 오프라인 시험을 봤습니다.

결과는!!

894점으로 합격할수 있었습니다.

AWS Certified Machine Learning - Specialty 배지

이로서 AWS의 10번째 자격증을 획득하였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CKA-Review

CKA를 취득하기로 마음먹은지 어언 10개월.. 작년 7월부터 고민했던 종착점에 도착했다.

먼저 시험을 보기전의 나에 대해서 이야기해볼까 한다.

컨테이너는 그럭저럭 다루고, ECS기반의 아키텍처설계를 주로했다. EKS는 혼자서 사용하면서 대충~ 이야기할수있는 레벨이었다. 이직을 진행하면서 NKS에 대한 공부를 진행했고, 관리형 K8S는 어느정도 이해도가 높아졌다는 생각을 한 시점이었다.

그리고 DKOS-Docker Kubernetes online study를 진행하면서 나름의 공부를 한터라 자신이 있었다. 1차 시험에는 49점으로 탈락했다. 사실 다 풀었는데 왜이런 점수가 나왔는지 의아했다. 그래서 떨어지고나서 찾아보니..시험에서 원하는 답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보통 나는 시험을 준비할 때 이런 프로세스를 따른다.

후기수집->언급빈도/공통키워드 분석-> 분석에 따른 시험공부->응시

그런데 이번엔 그렇지 않고 그냥 시험을 봤다. 평소와 다른 패턴으로 시험에서 원하는 답과 내가 생각하는 답의 거리. 그리고 K8S 클러스터에서 15번문제에서 작업한 것이 앞서 풀었던 문제에 영향을 끼쳤다. K8S context를 사용하는 문제들이 여러 문제였다.

명확하게 탈락 이유를 알게되고 본래 시험을 볼때 쓰던 방식을 따랐다.

경험자들의 후기를 수집했고 공통적으로 나오는 이야기가 있었다.

뭄샤드형. Mumshad Mannambeth 다. Udemy에 강의가 있다.

https://www.udemy.com/course/certified-kubernetes-administrator-with-practice-tests

원가는 좀 비싼데 유데미 특성상 시크릿모드로 여러번 반복해서 들어가면 할인된다. 나는 15000원에 구입했다.

먼저 스크립트를 보는 법을 알려준다.

CC에서 영어자막을 켜고, 그 옆에 Transcript 를 누르면 스크립트를 볼수있다.
축하한다. 이제 번역기를 쓸수있다. 강의 잘듣길 바란다.

크롬 자체의 번역기 기능을 켜면 애매한 번역일지언정 대충 알아 볼수있게 번역해준다.

그리고 여기부터 중요하다.

Udemy 강의의 24. Accessing the Labs 를 보면 kodekloud의 쿠폰을 준다.

강의+실습쿠폰이라니 이 얼마나 혜자 구성인가. kodekloud에선 Lab을 진행할수 있고 쿠버네티스를 실습하고 문제를 풀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해준다. 쿠폰으로 가입까지 마무리했다면 udemy 강의와 실습은 별개임을 알아야한다. 이론적인 지식은 별개로 채우고 실습으로 맞아가며 공부하는게 빠르다.

https://kodekloud.com/lessons/core-concepts-4/

로그인이후에 이 URL로 가면 Lab 만 진행할수 있다. 뭄샤드형의 컴퓨팅파워를 마음껏 사용하도록하자. - 좀 느린게 흠이지만 나는 너무 만족했다-

이 실습을 다 풀어보면서 시험에서 요구하는 정확한 답이 뭔지 알았다.

7월 31일 탈락 8월 7일 합격이었다. 딱 일주일만의 재 시험을 봐서 합격했다.

일주일간 뭄샤드형 실습완료- killer.sh 1번 정주행. 그리고 참고서로 쿠버네티스 완벽 가이드 책을 이용해서 애매한 개념들을 이해했다.

이제 공부하는 과정을 설명했다면 시험본 과정을 설명할까한다.

시험 준비는 먼저 구글번역/파파고번역/PSI /Innovative Exams Screensharing 이렇게 네가지의 플러그인을 설치했다. LinuxFoundation 시험은 번역기를 무료로 쓸수 있게 해준다. 감사. 매우감사.

그리고 뭄샤드형 Lab을 하면서 내가 잘못하는 도메인의 북마크(즐겨찾기)를 마구 만들어 뒀다.
- 실제 시험 들어가니까 그건 안보이고 검색해서 모두 해결했다.-

그리고 시험 15분전에 시험에 참가전 신원검사와 장소검사 등등을 하고 시험을 봤다.

시험을 시작하면 제일먼저 해야할것은

source <(kubectl completion bash)
echo "source <(kubectl completion bash)" >> ~/.bashrc
alias k=kubectl
complete -F __start_kubectl k

이 네줄을 치트 시트에서 찾아서 입력하는것이다.

자동완성 없으면 진짜 손가락에 랙걸리는게 느껴진다.

내가 중점적으로 연습했던건 RBAC 였다. SA->Role->Rolebinding 과정이 번거로웠다.

그리고 나는 원래 VI를 사랑하는 유저지만 이번시험에선 VI를 봉인했다. VI로 들어가서 수정하는 과정이 매우 귀찮았다.

그래서

cat <<EOF | k apply -f -
YAML
EOF

cat <<EOF | k apply -f - enter! 다음에 원하는 YAML을 넣고 EOF하는 것이다. 메모장은 시험에서 제공된 메모장으로 모두 에디터했다.. VI로 열고 닫고 넘귀찮은것.. 물론 방법이야 있는데..

VIM 에서 :shell 혹은 :sh 혹은 Ctrl + z 를 누르면 쉘로 복귀한다. !w 하면 되는데 손이 바쁘니까 그냥 메모장서 복붙붙했다.

이런 과정을 거쳐서 시험은 2번째 시험에 합격했고, 후기를 적고있다.

대충 하고싶었던 말을 다썼고, 이제 감사할 일만 남았다.

첫번쨰로 DKOS 에 참여할수 있도록 허락해주신 가시다님.
두번째로 팁을 아낌없이 나눠주신 라온클
세번째로 영원한 동료 MVSC-manvscloud 님

글로 모두 적지는 못하지만 도움을 주신 모든 분들께 항상 감사를 드립니다.

맺음말은 같은방식으로 하겠습니다.

즐거운 저녁되시라!

AWS-CLF-Practitioner

https://www.aws.training/LearningLibrary

AWS 의 기초학습은 먼저 AWS training ang certification 에서 진행한다.

Amazon 계정이 필요하며 로그인후

클라우드 실무자

한국어로 정렬한다.

그럼 초보자를 위한 학습리스트가 보인다. 모두듣자.

그다음은 내 블로그에서 여러번 소개된 인도아저씨 블로그를 참고하자.

Jayendra 님은 나를 AWS로 이끌어주는데 아주 많은 일조를 하신분이다.
항상 감사하는중. 언제 한번 계획을 세워 감사인사를 할 계획.

https://jayendrapatil.com/aws-certified-cloud-practitioner-exam-learning-path/

SAA 포스팅을 추가로 넣은이유는 경계가 애매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같이보는것도 좋다.

공부할때 참고하길 바라며 궁금하거나 알고싶은건 언제나 댓글이나,

https://open.kakao.com/o/gMCqYXxb

오픈카톡으로 들어와서 질문하여도 좋다!

건승하시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