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SAA-C02

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SAA-C02 준비방법

자격증 개요확인

https://aws.amazon.com/ko/certification/certified-solutions-architect-associate/

안내서

https://d1.awsstatic.com/ko_KR/training-and-certification/docs-sa-assoc/AWS-Certified-Solutions-Architect-Associate_Exam-Guide.pdf

샘플문항

https://d1.awsstatic.com/ko_KR/training-and-certification/docs-sa-assoc/AWS-Certified-Solutions-Architect-Associate_Sample-Questions.pdf

기본교육 - amazon id 필요

https://www.aws.training/Dashboard/?cta=tctopbanner

인도아저씨 - 서비스가 간략하게 정리되어있음 - 기출문제 존재

참고사이트

https://aws-hyoh.tistory.com

비공식 AWS 공인 솔루션스 아키텍트 - 어소시에이트 SAA-C02 (2020년 3월 출시) 수험 가이드 (bit.ly/saaguide)

https://github.com/serithemage/AWSCertifiedSolutionsArchitectUnofficialStudyGuide

AWS Certified Database - Specialty - DBS-C01 - Review

AWS Certified Database – Specialty

AWS Certified Database - Specialty 시험을 응시했다.

공부를 안하고 먼저 연습시험부터 봤다.

8월 17일 시험을봤다. 오늘까지 한달정도의 텀이 있었고 DOP를 보면서 DBS에 대한 공부도 어느정도 같이 진행이 되었다. 이때 연습시험에서 나온점수는 45%였다.

총점: 45%
주제별 채점:
1.Workload-Specific Database Design:75%
2.Deployment and Migration:0%
3.Management and Operations:50%
4.Monitoring and Troubleshooting:50%
5.Database Security:50%

공부를 하나도 안하고 본 연습시험이라 각이 보였다. 뭐 깊은 고민도 없는 상태였고, 쭉쭉 시험을 풀어나갈수있었기 때문이다.

DOP 시험후 연습시험을 또 봤다. 이시점엔 공부가 어느정도 진행된 상태였다.

공부라함은..DB 서비스들의 docs를 대충보고 FAQ를 탐독하여 어느정도 지식이 있는상태였다. 대부분의 디비를 쓴상태지만.. 넵튠은 넵튠은...! 생소했다. 그래서 좀 열심히 봤는데 이게또 한번 생성하는 거만 못했다. 16일 밤에 부랴부랴 생성해봤다.

총점: 65%
주제별 채점:
1.Workload-Specific Database Design:50%
2.Deployment and Migration:75%
3.Management and Operations:75%
4.Monitoring and Troubleshooting:50%
5.Database Security:75%

20%를 올렸다. 불안감이 엄습했다..허어....70%였으면 불안하지 않았으리라..근데 불안했다. 그래서 연습 시험보면서 봤던 문제들을 기억해서 넵튠 만들고 오로라로 전환하고 테스트를 했다. 오로라 생성이 좀 오래걸려서..새벽2시 까지 봤다. 이과정을 해보길 잘했지 안해봤으면 넵튠 문제 다 틀릴뻔했다.

https://aws.amazon.com/ko/products/databases/

일단 이걸 기반으로 공부해야한다.

아직 Timestream / QLDB / cassandra 는 시험에 나오지 않는다.

FAQ를 중점적으로 읽고 사용사례를 꼭 읽자.

DBS 는 이미 먼저 한번 공부를 했던 su - 현님의 리드가 있었기에 공부가 쉬웠다.

공부에 도움을 주신 su - 현님께 감사를 드린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또 읽어주세요!

AWS Certified DevOps Engineer - Professional-Review - DOP-C01

일명 DOP 라 불리는 시험으로 AWS 에서 존재하는 2개의 pro 시험중 하나이다.

1차 8월 30일
2차 9월 14일 오늘이다.

8월 30일 시험으로는

698 점이었다. 52점이 모자랐다.

시험을 보고난뒤 현타가 왔지만 자아성찰을 했다.

나는 서비스는 다써봤다.
안 써봤을리 없지.. 그많은 기간 테스트를 해봤으니, 그런데 단순테스트와 서비스에 대한 개념만으로는 나는 DOP를 통과할수 없었다. SAP 때의 지옥이 떠올랐다. 물론 SAP는 서비스 콤비네이션에 대한 질문이 주를 이루므로 각각의 상황에 알맞는 솔루션을 선택하는거라 나의 주종목인 넓고알기에 딱 어울리는 시험이었다. 그러나 DOP는 좀 달랐다.

나는 개발자로서의 경험이 1도 없는 사람이다. 엔지니어로서 오랜기간 일을했고, git 이나, svn, codecommit 등의 서비스를 써본적은 있어도 말 그대로 써본거지 실제로 내가 이걸 활용해 본적이 없는 것이다. 그렇기에 기능분기라던가 마스터 브랜치 같은 개념이나 아티펙트같은 개념이 잘 와 닿지 않았다.

이 모든건 내가 개발자가 아니기에 OPS의 의 영역엔 강할수 있어도 DEV의 영역에는 이해도가 낮았다 라고 판단했다. 그래서 시험에 떨어진 이후, 나는 CI/CD의 Best Practice를 주로 학습하고 여러명의 개발자가 코드분기 패턴이나 승인 패턴, 테스트패턴에 대한 학습을 했다.

그리고 오늘 시험보기 전에 어느정도 확신이 섰다. 내가 뭘몰랐는지에 대한 이유를 알았기 때문이었다. 역시 시험장은 솔데스크가 좋다. 영우글로벌도 좋은데..

각설하고 학습과정은 이렇다.

먼저 자격증의 요구사항을 분석한다.

https://d1.awsstatic.com/ko_KR/training-and-certification/docs-devops-pro/AWS-Certified-DevOps-Engineer-Professional_Exam-Guide.pdf

시험 안내서면 충분하다.

https://d1.awsstatic.com/ko_KR/training-and-certification/docs-devops-pro/AWS-Certified-DevOps-Engineer-Professional_Sample-Questions.pdf

샘플문항을 풀어본다.

각자의 공부방법이 있겠지만 acloudguru나 udemy 등을 이용해서 공부해도 좋다.
그리고 나는 youtube 도 애용하는 편이다.

서비스는 사실.. 뭐...


파틸아저씨의 블로그를 서비스 항목만 참고해서 aws 상에서 만들어 보고 혼자서 실습을 한다. 주로 헤딩을 하며, 생성 구성 사용을 해보고 docs를 나중에 본다.

정독은 쉽지 않다.

어느정도 준비가 되면 연습시험을 본다. 시험 한번합격시에 연습시험 쿠폰을 1개를 주니, 무료 연습시험을 꼭보자.

연습시험에서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해도, 본시험은 그보다 난이도가 낮은 문제가 많이 나오니 너무 걱정말자. 그렇지만.. 걱정 안했다가 내가 8월30일 불합격을 맛봤다.

그 이후 이주간 개발자의 방법을 알기위한 노력을 끊임없이 진행했다.

그중에 가장 많이본건 CI/CD다...

그외에 아키텍처부분은 뭐..그냥 쏘쏘.....

https://aws.amazon.com/ko/products/developer-tools/

크게는 여기서 개발자 툴의 범주를 확인했고

https://aws.amazon.com/ko/codepipeline/faqs/

https://aws.amazon.com/ko/codebuild/faqs/?nc=sn&loc=5

https://aws.amazon.com/ko/codecommit/faqs/

https://aws.amazon.com/ko/codedeploy/?c=dv&sec=srv

https://aws.amazon.com/ko/codeartifact/faq/

https://aws.amazon.com/ko/xray/?c=dv&sec=srv

람다를 운영에서 사용하는 방법을 봤다. .serverless 에서의 lambda는 컴퓨팅을 담당하지만 DOP에서의 lambda는 AWS에서의 서비스간 역할을 강하게 묶어주는 역할이 더많은것같다.

https://aws.amazon.com/ko/lambda/faqs/

AWS Lambda를 사용하여 AWS 이벤트 처리

이 부분이 중요하다. 그리고 또 Cloudfromation AWS 에서 IaC를 맡고 있으므로 굉장히 중요..그리고 Elasticbeanstalk 아직 ECS 나 EKS는 시험에 드물게 나온다.

또한 배포방식..

https://aws.amazon.com/ko/premiumsupport/knowledge-center/codepipeline-deploy-cloudformation/

이런 자습서 꼭 참고하자..보기만 해도 도움이 된다.

내가 DOP를 이해하기위해 본것들이다.

정리를 하며 본건 아니라서 좀 중구난방인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890점으로 통과했고,

자격증 까지 나왔다.

근래에 자격증 발급속도가 당일 발급이라 만족스럽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 또 읽어주세요.!

AWS Certified Cloud Practitioner (CLF)-Recertified

Certmetrics 를 보다보니 이상한게 보였다.

CLF 의 상태가..이상하다

파일:oo의 상태가.png

Recertified 상태인것이다. 뭐지 하고 궁금해서 눌러봤다.

CLF를 취득후에 Associate를 취득하면 같이 갱신된다. 그래서 지금 Practitioner 의 만료일자는

자동 연장되어 2023년 8월 23일이다.

결론을 말하자면 CLF를 취득후에 갱신해야 한다면 Associate 자격증을 취득하자.

AWS Certified Developer - Associate-review

AWS Certified Developer - Associate 시험을 오늘 봤다. 오늘은 2020년 8월 11일이다.

영우글로벌에서 시험을 응시했고 영우글로벌 매우 쾌적한 시험장에 PC상태도 좋았다.

일단 합격했고 후기는 쓸게 없다.

나는 공부를 헛했다....다른 사람들의 후기를 보고서 공부를 했는데 정작..공부한 곳에선 한문제도 안나왔다. 그냥 가서 풀고나온거다..

AWS Certified Developer – Associate

이렇게 찜찜할수가...그래도 합격은 합격이니...인증은 써야지..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