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식으로 만들고 파게이트는 네임스페이스로 지정하면 네임스페이스에 만들어지는 톨레이션이나 다른 노드 어피니티등을 가지지 않은 Pod를 Fargate로 프로비저닝 한다. 이때 일반적인 쿠버네티스와 다른 부분은 Fargate 스케줄러(fargate-scheduler)가 별도로 동작하여 Fargate를 프로비저닝한다. 일반적인 경우엔 (default-scheduler)가 Pod를 프로비저닝 한다.
EKS의 관리영역중 Addon 이나 필수 컴포넌트중에 Node에서 동작해야하는 것들이 있다. 이 경우에 NodeGroup을 운영해야한다. NodeGroup에 여러 파드들이 스케줄링되고 관리형 Pod들은 다른 서비스에 운영되는 NodeGroup과 섞여서 스케줄리되어야 하는데, 이것의 가장큰 문제는 Node의 사망이 기능의 장애로 이어진다는 점이다. 따라서 Node를 전용 Node로 사용하면 좋은데 아주작은 노드를 스케줄링한다고 해도 관리되어야 하는 대상이 됨은 틀림없고, 노드를 정해서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들이 생기게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에 EKS에서는 Fargate가 있다. 1Node - 1Pod 라는게 아주 중요한 포인트다.
k get pod -o wide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IP NODE NOMINATED NODE READINESS GATES
coredns-fd69467b9-bsh88 1/1 Running 0 5h18m 192.168.13.23 fargate-ip-192-168-13-23.ap-northeast-2.compute.internal <none> <none>
coredns-fd69467b9-gn24k 1/1 Running 0 5h18m 192.168.12.34 fargate-ip-192-168-12-34.ap-northeast-2.compute.internal <none> <none>
# k events
5s Normal NodeAllocatableEnforced Node/i-0a7504d19e11fb642 Updated Node Allocatable limit across pods
4s Normal Scheduled Pod/unsafe Successfully assigned default/unsafe to i-0a7504d19e11fb642
3s Normal Pulling Pod/unsafe Pulling image "centos:7"
k get pod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unsafe 1/1 Running 0 20s
정상적으로 스케줄링된것이 보인다.
이로서 unsafe 파라미터를 영구적으로 적용할수 있게되었다.
이렇게 파라미터를 적용하고 나서, net.core.somaxconn 을 테스트하였다. 정상적으로 적용된것이 보인다. 사실 단순히 somaxconn만 적용한다고 뭔가 달라지지 않는다. syn_backlog 값도 같이 늘려야 한다. 그리고 적용된 값은 Listen() 시스템 콜을 할때 적용 되기 때문에 이 파라미터 들은 컨테이너가 시작될때 적용된다고 보면 된다.
이런 과정을 거쳐서 테스트를 진행했으나, 실은 트래픽을 20% 더 받았을 뿐 증상이 완화 되지 않았다.
결국 해결은 kubenetes 안에 있지 않았고 Linux 안에 있었다. irqbalance의 smp_affinity 가 정상적으로 인터럽트 해주지 않아서 cpu0만 열심히 일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런과정에서 privileged / unsafe 에 대해서 알게되었다.
5주차 과정을 진행하면서 다시금 그때의 기억과 내용을 자세히 알게되면서 새로운 부분도 알되게었고, 새로이 정리도 하게되었다.
time="2023-03-21T12:56:22.412Z" level=warning msg="You are running in insecure mode. Learn how to enable transport layer security: https://argoproj.github.io/argo-workflows/tls/"
time="2023-03-21T12:56:22.412Z" level=warning msg="You are running without client authentication. Learn how to enable client authentication: https://argoproj.github.io/argo-workflows/argo-server-auth-mode/"
그러면 꼴뚜기 친구를 볼수있다. 이제 WorkFlow UI 까지 띄우고 Events 를 사용할 준비가 마무리 된거다.
git webhook을 이용한 간단한 테스트 정도만 이어 갈거다 걱정하지 마라. 먼저 알아야 할것은 workflow / Events 라는 놈은 CRD를 떡칠해 놨기에 우리가 생각하는 K8S의 컴포넌트 동작과는 다르다. K8S의 컴포넌트를 이용하긴 하나, 받아서 던져주는 EventBus 같은녀석도 있기때문에 Ingress 가 정상적으로 동작해도 Bus를 탈수없는 경우도 있다.
그럼 Events 로 가기전에 CRD의 RBAC를 설치해야 한다.
1
2
3
4
# sensor rbac
k apply -f https://raw.githubusercontent.com/argoproj/argo-events/master/examples/rbac/sensor-rbac.yaml
# workflow rbac
k apply -f https://raw.githubusercontent.com/argoproj/argo-events/master/examples/rbac/workflow-rbac.yaml
curl -d '{"message":"this is my first webhook"}'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X POST http://k8s-argo-argoeven-44fe46d880-57919429.ap-northeast-2.elb.amazona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