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er-admin

Azure-AZ-301 Microsoft Azure Architect Design

Azure 301 스터디를 완료 했다.

Azure는 정말 오랜기간이 걸렸다. 3월부터 시작해서 어제까지 붙잡고 있었다. 물론 Azure만 공부한건 아니지만 Azure는 힘겨운 공부였다.

az-301은 이제 9월 30일에 종료되는 시험이라 아주 영 다른 시험을 볼만한 자신이 없었다. 게다가 az-300 을 마친 상태라 같은 유형의 시험을 보고싶은 생각이 컷다.

그래서 6월부터 준비해서 7월 11일 시험을 봤다.

시험에 대해서 이야기하자면...

az-300은 overview를 다루는 것이 컷다. 다루는 범위가 넓었고 많은 서비스를 썼다. 그런데 az-301은 그렇지 않았다. ad forest 끼리의 신뢰라던가 connect 라던가 하이브리드 구성을 물어보는 문제들이 있었다.

https://docs.microsoft.com/ko-kr/microsoft-365/enterprise/contoso-case-study?view=o365-worldwide

https://docs.microsoft.com/ko-kr/azure/active-directory/b2b/allow-deny-list

case 를 참고하자.

제일 중요하다 생각했던 개념은

forest-tree, tenant 구분하는 내용이다. 이부분은 오픈 IT인프라 정보공유 오픈카톡의 불나방님께서 도움을 주셨다. 불나방님 감사합니다!! - 질문할때 도움주신 자니님도 감사합니다.

https://docs.microsoft.com/ko-kr/azure/active-directory/hybrid/how-to-connect-fed-single-adfs-multitenant-federation

링크를 참조하자.

또 storage account 의 class 에대한 내용을 주로 봤다. 어떤상황에서 어떤 storage 와 class 를 쓸 수 있는지 정확하게 알아야한다. 그 이외에는 뭐.. 골자는 az-300과 비슷한 내용이 주를 이루었지만 같은 기능을 여러가지로 다시 만든것들이 은근 있어서 굉장히 어려웠다.

az 301이 시험이 진짜 너무없어서 대전까지 다녀왔다.

10일 금요일 저녁 대전으로 향했다. KTX를 타고 내려가서 근처의 모텔에서 숙박하고 밤새 공부하려 했으나, 실-패 자고 일어나서 열심히 봤다.

시험중의 특이사항은..ㅋㅋㅋㅋㅋㅋㅋㅋ하

시험시작했는데 모니터 한가운데 해상도 맞지않음이라는 표시가 사라지지 않았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그래서 대전은 좀 프리하더라.. 감독관이 모니터 교체를 도움주기 어려운 상황이라 동의를 구하고 옆자리 모니터를 가져다가 직접교체 후 시험을 진행했다.

중지하고 다른자리에서 진행하라는 권유도 받았는데 Azure에서는 뒤로가기가 안되는 문제들이 존재하는데 그게 1번부터 9번문제 까지였다. 그래서 문제가 생길까봐 걱정되서 그냥 모니터 교체후 진행했는데 교체 한 모니터는 3분마다 모니터 옵션이 떴다....

그런 고통에 가득한 시험을 진행해서..

시험을 합격했다. 점수는 746점이다.

300/301을 합격해야 certification 을 발급해주는데 하나만 합격해선 exam 이다.

그래서 나는 두가지 시험을 모두 합격했으므로 Azure SA Expert 를 취득했다.

Azure SA의 시험을 마무리하면서 목표했던 1차과제가 완료 되었다.

이 다음 글은 3개의 퍼블릭 클라우드 SA certi를취득하면서 느낀점과 변화를 써보려고한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하루되세요!

같이공부해주신 스터디원분들께 감사를 드립니다.

수현님, 재호님, 민형님, 수진님 최근에 합류한 한섭이까지.

너무 감사합니다~!

linux-유용한 명령어

7/6일 오픈카톡 대화에서 발췌

glances - top / htop 대용

yum install python-pip python-devel
pip install glances

lsof list open files

lsof 는 열려있는 파일리스트를 보여준다. 예를들어 pid 3222를 확인하려 한다고 하면 아래와 같이 쓰면 된다.

lsof -p 3222
COMMAND PID USER FD TYPE DEVICE SIZE/OFF NODE NAME
httpd 3222 apache cwd DIR 202,1 278 96 /
httpd 3222 apache rtd DIR 202,1 278 96 /
httpd 3222 apache txt REG 202,1 553600 61998 /usr/sbin/httpd
httpd 3222 apache mem REG 202,1 26976 1392 /usr/lib64/libnss_dns-2.26.so
httpd 3222 apache mem REG 202,1 57296 1394 /usr/lib64/libnss_files-2.26.so
httpd 3222 apache mem REG 202,1 37032 35796 /usr/lib64/libnss_sss.so.2
httpd 3222 apache mem REG 202,1 62432 8533557 /usr/lib64/httpd/modules/mod_proxy_http2.so
httpd 3222 apache mem REG 202,1 2462992 86241 /usr/lib64/libcrypto.so.1.0.2k
httpd 3222 apache mem REG 202,1 158280 485506 /usr/lib64/libnghttp2.so.14.18.0
httpd 3222 apache mem REG 202,1 248888 8533556 /usr/lib64/httpd/modules/mod_http2.so
httpd 3222 apache mem REG 202,1 40152 8676027 /usr/lib64/httpd/modules/mod_cgid.so

awk 는 주로 sort 와 같이 사용된다.

220.122.174.19, 70.132.53.181 - - [06/Jul/2020:21:30:11 +0900] "GET /category/aws/ HTTP/1.1" 200 105327
220.122.174.19, 70.132.53.107 - - [06/Jul/2020:21:30:11 +0900] "GET /2020/06/aws-ec2-root-volume-resize-extending-linux/embed/ HTTP/1.1" 200 19832

위의 로그에서 IP 만 확인하고 싶다면

cat linuxer.name_access_log | awk '{print $1}'

같은명령어로 배열로 잘라서 출력할수 있다.

/ sed

ps -elf

ps afxuwww

ps afxuwww - 명령어는 전체를 다보여주면서 자식 프로세스까지 다보여준다...짱좋아

ps -ef -L

ss
tcp FIN-WAIT-1 0 1281 10.0.0.12:ssh 61.177.172.13:46933
tcp ESTAB 0 1280 10.0.0.12:ssh 61.177.172.13:40872
tcp ESTAB 0 0 10.0.0.12:ssh 61.177.172.13:48407
tcp ESTAB 0 0 10.0.0.12:57592 52.95.194.65:https
tcp ESTAB 0 1280 10.0.0.12:ssh 61.177.172.13:41761
tcp ESTAB 0 0 10.0.0.12:50144 52.95.195.99:https
tcp ESTAB 0 0 10.0.0.12:ssh 222.186.173.238:43018
tcp FIN-WAIT-1 0 1281 10.0.0.12:ssh 61.177.172.13:20460
tcp ESTAB 0 0 10.0.0.12:50104 52.95.195.99:https
tcp ESTAB 0 1280 10.0.0.12:ssh 61.177.172.13:19907
tcp FIN-WAIT-1 0 1 10.0.0.12:ssh 218.92.0.249:45695
tcp ESTAB 0 0 10.0.0.12:41014 52.95.195.109:https

tcpdump

ngrep - bpf filter가 되어서 L7 grep 가능

sar

iostate

strace / ftrace

Chapter 20. I/O Redirection

일반적으로 sort 해서 저장하려면 쓰는명령어는

cat filename | sort > filename

이었다면 <> Redirection 을 이용한다면 이래와 같이 설정가능!

sort <filename> filename

NCP-NAVER-Cloud-Platform-Certified-Associate-review

안녕하세요. 누리클라우드 / 호스트센터 의 정태환입니다.

근래에 NCP 자격증에 대해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서 몇번 문의를 받았습니다.
그래서 NCP 의 교육과 자격증에 대해서 리뷰를 적어보려 합니다.

NCP 의 자격증은

NAVER Cloud Platform Certified Associate

NAVER Cloud Platform Certified Professional

NAVER Cloud Platform Certified Expert

세가지의 자격증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각 시험은 여러개의 과목으로 나뉘어져있고, NCA / NCP / NCE로 명칭합니다.

NCA는 1개의 과목 NCP는 3개 NCE는 5개 입니다.

현재 아직 NCE는 응시할 수 없습니다.

문의 해본 결과 8월 출시될 예정이라 합니다.

https://www.ncloud.com/support/certExam

자세한 내용은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NCA review 를 본격적으로 진행하자면 두가지를 봐야합니다.

https://docs.ncloud.com/ko/

https://www.ncloud.com/product

NCP의 docs 와 서비스 리스트입니다.

NCA시험유형은 다른 퍼블릭 클라우드의 시험과 좀 사뭇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aws / azure /gcp 등의 시험같은 경우에는 role에 따라 시험과목이 나누어져있는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sa / dev / ds 등과같은 방식으로 역할에 따라 시험의 과목을 나누는데 NCP의 시험은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선 각각의 도메인에 대해서 합격해야 자격증이발급 됩니다.

설명은 여기까지 하고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

NCA는 Overview / Compute / Storage / Network / Media 총 다섯가지에 대해서 시험을 보게됩니다. 사실 Overview 때문에 정확하게 나뉘어지지는 않고 NCP의 서비스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고 있는지 질문 합니다. NCA의 난이도는 높지 않지만 그렇다고 해서 준비하지 않으면 굉장히 어려워지는 시험입니다.

그럼 시험 준비에 어떤 부분이 어려울지 나름 분석을 해봤는데요, 역시 Overview 의 부분이었습니다. 과목의 범위가 어디서 어디인지 알수없기 때문인데요..

Compute / Storage / Network / Media 네가지의 도메인에 대해선 비교적 명확하게 알수있지만 overview 의 깊이는 알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제가 경험한 부분을 간접적으로 알려드리려 합니다.

먼저 최대치에 대해서는 반드시 알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서 1G당 iops 와 최대 iops 같은 것입니다.

Overview에는 AI 서비스도 포함됩니다. 깊은 레벨의 질문은 아니지만 서비스에 대해선 명확하게 알아야 합니다.

서비스의 분류또한 중요합니다. IPsec VPN /SSL VPN의 분류가 어떻게 되는지 알아야 하는것처럼요.

그냥 DOCS 만 바라봐서는 정확한 이해가 어렵습니다.

인스턴스 생성 / 로드벨런서 생성 / 오토스케일링 생성
이 과정 자체는 꼭 생성과정을 이해해야 합니다. 실습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럼 마지막으로 Overview 에서 본 과목에 대해서 나열을 하는 식으로 끝내보려 합니다.

VMWare ON Cloud / WORKPLACE / Cloud hadoop / Ncloud cli / Backup / Cloud log Analytics / NAT 의 작동방식 / Data Teleporter / AI

두서없이 나열을 했는데 공부하는데 도움이 되시기 바랍니다.

NCA 자격증을 인증하면서 글을 마칩니다.

합격하세요!

GCP-PCNE-JBL-Clip3-Review

4월에 PCNE를 취득하고 벌써 3개월 가량이 흘렀다.

해야지 해야지 하고 미루고 미루다 드디어 오늘 PCNE를 취득하고 난 다음 받은 굿즈를 인증겸 리뷰겸 하려 한다.

PCNE 리뷰는 위의 글을 참고하자.

시험을 다치고나서 2달뒤 당도했다.

문명5 세종에 그루브를 입혀봐요 - YouTube

조선의 IDC에 당도한것을 환영하오. 낯선 "JBL Clip3"여.
나는 나의 훌륭한 인스턴스들을 굽어살피는 깨우친 엔지니어, 리눅서요.

드립은 그만 치고 뜯었다.

스티커와 함께 들어있는 Clip3 의 자태가 보인다. 뜯는다.

굿즈의 모습이 아름답다. 이 영롱함을 보려고 PCNE를 두번봤다.

모양은 구글홈미니랑 비슷한 크기에 클립이 달려 있는 모양이다. 튼튼해 보이는 외형에 방수까지 달렸다. 흔히 아웃도어 스피커라 하는 분야의 스피커에 가깝다.

제일 감탄했던건 JBL마크의 붉은 빛의 영롱함이다. 예쁘다.

총평은 패키징이 좋다. 마크는 그냥 판박이 붙여 놓은거 같지만... 예쁘다.

소리는 전원을 키면 일렉기타를 치는 소리가 들리며 스피커가 켜진다. 블루투스 스피커이며, 지연은 없는듯하다. 소리는 저음과 베이스가 강한편.

크기가 작지만 3.3W / 80dB 이다. 크다면 크고 작다면 작은...

샤워할때 주로쓴다.

젖어도 되는 스피커. 좋지 아니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