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형 RabbitMQ가 나왔다.

놀랄만큼 아무도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 안타깝....
그래서 내가 관심을 주기로 했다.
RabbitMQ VPC 설정을 확인해 보자!

생성모드는 단일과 클러스터 두가지가 있다. 단일구성부터 보자

퍼블릭엑세스는 VPC 내에 속하며 서브넷을 선택할수 있다.

프라이빗 엑세스를 선택해야 보안그룹를 선택할수 있다. 이게 가장 큰 차이점.
그리고 한번 퍼블릭으로 생성한 MQ는 영원히 퍼블릭이다. 프라이빗은 영원히 프라이빗..
그리고 이 포스팅을 시작하게 된 가장 큰 계기..

클러스터 모드에서 퍼블릭 엑세스를 사용한 RabbitMQ 는 VPC 외부에 만들어진다.




그냥 VPC 컨트롤하는 설정이 없다.

프라이빗으로 설정하면 VPC에 생성...
같은 RabbitMQ임에도 VPC 내부 / 외부 / 보안그룹 유 /무 접근제어 방식이 다른것이 인상적이었다. RDS와 같이 VPC 내부에 만들어져서 편리하게 전환할 수 있는 방식이 아니기에 생성 초기부터 명확하게 아키텍처를 구상해야 하는 것이다.
RabbitMQ의 VPC 설정은 변경이 불가능하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