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bernetes

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CKA-Review

CKA를 취득하기로 마음먹은지 어언 10개월.. 작년 7월부터 고민했던 종착점에 도착했다.

먼저 시험을 보기전의 나에 대해서 이야기해볼까 한다.

컨테이너는 그럭저럭 다루고, ECS기반의 아키텍처설계를 주로했다. EKS는 혼자서 사용하면서 대충~ 이야기할수있는 레벨이었다. 이직을 진행하면서 NKS에 대한 공부를 진행했고, 관리형 K8S는 어느정도 이해도가 높아졌다는 생각을 한 시점이었다.

그리고 DKOS-Docker Kubernetes online study를 진행하면서 나름의 공부를 한터라 자신이 있었다. 1차 시험에는 49점으로 탈락했다. 사실 다 풀었는데 왜이런 점수가 나왔는지 의아했다. 그래서 떨어지고나서 찾아보니..시험에서 원하는 답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보통 나는 시험을 준비할 때 이런 프로세스를 따른다.

후기수집->언급빈도/공통키워드 분석-> 분석에 따른 시험공부->응시

그런데 이번엔 그렇지 않고 그냥 시험을 봤다. 평소와 다른 패턴으로 시험에서 원하는 답과 내가 생각하는 답의 거리. 그리고 K8S 클러스터에서 15번문제에서 작업한 것이 앞서 풀었던 문제에 영향을 끼쳤다. K8S context를 사용하는 문제들이 여러 문제였다.

명확하게 탈락 이유를 알게되고 본래 시험을 볼때 쓰던 방식을 따랐다.

경험자들의 후기를 수집했고 공통적으로 나오는 이야기가 있었다.

뭄샤드형. Mumshad Mannambeth 다. Udemy에 강의가 있다.

https://www.udemy.com/course/certified-kubernetes-administrator-with-practice-tests

원가는 좀 비싼데 유데미 특성상 시크릿모드로 여러번 반복해서 들어가면 할인된다. 나는 15000원에 구입했다.

먼저 스크립트를 보는 법을 알려준다.

CC에서 영어자막을 켜고, 그 옆에 Transcript 를 누르면 스크립트를 볼수있다.
축하한다. 이제 번역기를 쓸수있다. 강의 잘듣길 바란다.

크롬 자체의 번역기 기능을 켜면 애매한 번역일지언정 대충 알아 볼수있게 번역해준다.

그리고 여기부터 중요하다.

Udemy 강의의 24. Accessing the Labs 를 보면 kodekloud의 쿠폰을 준다.

강의+실습쿠폰이라니 이 얼마나 혜자 구성인가. kodekloud에선 Lab을 진행할수 있고 쿠버네티스를 실습하고 문제를 풀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해준다. 쿠폰으로 가입까지 마무리했다면 udemy 강의와 실습은 별개임을 알아야한다. 이론적인 지식은 별개로 채우고 실습으로 맞아가며 공부하는게 빠르다.

https://kodekloud.com/lessons/core-concepts-4/

로그인이후에 이 URL로 가면 Lab 만 진행할수 있다. 뭄샤드형의 컴퓨팅파워를 마음껏 사용하도록하자. - 좀 느린게 흠이지만 나는 너무 만족했다-

이 실습을 다 풀어보면서 시험에서 요구하는 정확한 답이 뭔지 알았다.

7월 31일 탈락 8월 7일 합격이었다. 딱 일주일만의 재 시험을 봐서 합격했다.

일주일간 뭄샤드형 실습완료- killer.sh 1번 정주행. 그리고 참고서로 쿠버네티스 완벽 가이드 책을 이용해서 애매한 개념들을 이해했다.

이제 공부하는 과정을 설명했다면 시험본 과정을 설명할까한다.

시험 준비는 먼저 구글번역/파파고번역/PSI /Innovative Exams Screensharing 이렇게 네가지의 플러그인을 설치했다. LinuxFoundation 시험은 번역기를 무료로 쓸수 있게 해준다. 감사. 매우감사.

그리고 뭄샤드형 Lab을 하면서 내가 잘못하는 도메인의 북마크(즐겨찾기)를 마구 만들어 뒀다.
- 실제 시험 들어가니까 그건 안보이고 검색해서 모두 해결했다.-

그리고 시험 15분전에 시험에 참가전 신원검사와 장소검사 등등을 하고 시험을 봤다.

시험을 시작하면 제일먼저 해야할것은

source <(kubectl completion bash)
echo "source <(kubectl completion bash)" >> ~/.bashrc
alias k=kubectl
complete -F __start_kubectl k

이 네줄을 치트 시트에서 찾아서 입력하는것이다.

자동완성 없으면 진짜 손가락에 랙걸리는게 느껴진다.

내가 중점적으로 연습했던건 RBAC 였다. SA->Role->Rolebinding 과정이 번거로웠다.

그리고 나는 원래 VI를 사랑하는 유저지만 이번시험에선 VI를 봉인했다. VI로 들어가서 수정하는 과정이 매우 귀찮았다.

그래서

cat <<EOF | k apply -f -
YAML
EOF

cat <<EOF | k apply -f - enter! 다음에 원하는 YAML을 넣고 EOF하는 것이다. 메모장은 시험에서 제공된 메모장으로 모두 에디터했다.. VI로 열고 닫고 넘귀찮은것.. 물론 방법이야 있는데..

VIM 에서 :shell 혹은 :sh 혹은 Ctrl + z 를 누르면 쉘로 복귀한다. !w 하면 되는데 손이 바쁘니까 그냥 메모장서 복붙붙했다.

이런 과정을 거쳐서 시험은 2번째 시험에 합격했고, 후기를 적고있다.

대충 하고싶었던 말을 다썼고, 이제 감사할 일만 남았다.

첫번쨰로 DKOS 에 참여할수 있도록 허락해주신 가시다님.
두번째로 팁을 아낌없이 나눠주신 라온클
세번째로 영원한 동료 MVSC-manvscloud 님

글로 모두 적지는 못하지만 도움을 주신 모든 분들께 항상 감사를 드립니다.

맺음말은 같은방식으로 하겠습니다.

즐거운 저녁되시라!

K8s-one-line-Challenge

잔잔한 호수에 돌맹이는 내가던졌다.

K8s의 Service는 selector 에서 지정한 label로 pod에게 트래픽을 흘린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service 에서 연결된 pod를 한번에 조회할순 없다.

service 에서 selector 나 endpoint를 확인해서 labels 를 보고 확인해야 한다. 그 과정을 한번 보자.

my-service1 이라는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pod를 조회할꺼다.

k get svc -o wide
NAME          TYPE        CLUSTER-IP       EXTERNAL-IP   PORT(S)        AGE     SELECTOR
kubernetes    ClusterIP   198.19.128.1     <none>        443/TCP        2d13h   <none>
my-service1   NodePort    198.19.231.233   <none>        80:30001/TCP   2d12h   app=my-nginx1
my-service2   NodePort    198.19.172.176   <none>        80:30002/TCP   2d12h   app=my-nginx2
my-service3   NodePort    198.19.200.20    <none>        80:30003/TCP   2d12h   app=my-nginx3

k get pods -l app=my-nginx1 --show-labels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LABELS
my-nginx1-67f499d79c-g7vr7   1/1     Running   0          26h   app=my-nginx1,pod-template-hash=67f499d79c
my-nginx1-67f499d79c-j4f9k   1/1     Running   0          26h   app=my-nginx1,pod-template-hash=67f499d79c
my-nginx1-67f499d79c-mqxzs   1/1     Running   1          26h   app=my-nginx1,pod-template-hash=67f499d79c

kubectl. 에서 svc 를 get하고 -o wide 명령어를 쓰면 selector 가보인다. 거기서 get pod -l app=my-nginx1 이라 일일이 지정해줘야지만 확인할수 있다. 명령어 두줄치면 되긴한데 귀찮다. 이렇게 된이상 한줄치기는 물러설수 없다.

미끼를 물어주신 iamai 님께 감사를 드린다. - 재차 감사! - 예아!

kubectl get endpoints |grep my-service1 |awk '{print $2}'|tr "," "\n" |awk -F":" '{print $1}' |grep -f - <(kubectl get po -o wide)
my-nginx1-67f499d79c-g7vr7   1/1     Running    0          26h   198.18.0.74    nks-pool-1119-w-gzg   <none>           <none>
my-nginx1-67f499d79c-j4f9k   1/1     Running    0          26h   198.18.2.250   nks-pool-1119-w-gzh   <none>           <none>
my-nginx1-67f499d79c-mqxzs   1/1     Running    1          26h   198.18.1.208   nks-pool-1119-w-gzi   <none>           <none>

endpoint 에서 조회된 IP를 awk 로 떼어서 한줄씩으로 변환후 포트를 제거한다. 그리고 pod list 에서 IP가 grep 된 줄만 출력한다.

[root@linuxer-bastion ~]# kubectl get endpoints
NAME          ENDPOINTS                                         AGE
kubernetes    10.0.12.10:6443,10.0.12.11:6443,10.0.12.16:6443   2d13h
my-service1   198.18.0.74:80,198.18.1.208:80,198.18.2.250:80    2d13h
my-service2   198.18.0.173:80,198.18.1.155:80,198.18.2.120:80   2d13h
my-service3   198.18.0.6:80,198.18.1.139:80,198.18.2.70:80      2d13h
[root@linuxer-bastion ~]# kubectl get endpoints |grep my-service1 
my-service1   198.18.0.74:80,198.18.1.208:80,198.18.2.250:80    2d13h
[root@linuxer-bastion ~]# kubectl get endpoints |grep my-service1 |awk '{print $2}'
198.18.0.74:80,198.18.1.208:80,198.18.2.250:80
[root@linuxer-bastion ~]# kubectl get endpoints |grep my-service1 |awk '{print $2}'|tr "," "\n" 
198.18.0.74:80
198.18.1.208:80
198.18.2.250:80
[root@linuxer-bastion ~]# kubectl get endpoints |grep my-service1 |awk '{print $2}'|tr "," "\n" |awk -F":" '{print $1}' 
198.18.0.74
198.18.1.208
198.18.2.250
[root@linuxer-bastion ~]# kubectl get endpoints |grep my-service1 |awk '{print $2}'|tr "," "\n" |awk -F":" '{print $1}' |grep -f - <(kubectl get po -o wide)
my-nginx1-67f499d79c-g7vr7   1/1     Running    0          26h   198.18.0.74    nks-pool-1119-w-gzg   <none>           <none>
my-nginx1-67f499d79c-j4f9k   1/1     Running    0          26h   198.18.2.250   nks-pool-1119-w-gzh   <none>           <none>
my-nginx1-67f499d79c-mqxzs   1/1     Running    1          26h   198.18.1.208   nks-pool-1119-w-gzi   <none>           <none>
[root@linuxer-bastion ~]# kubectl get po -o wide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IP             NODE                  NOMINATED NODE   READINESS GATES
busybox                      0/1     Init:0/2   0          26h   198.18.2.60    nks-pool-1119-w-gzh   <none>           <none>
my-nginx1-67f499d79c-g7vr7   1/1     Running    0          26h   198.18.0.74    nks-pool-1119-w-gzg   <none>           <none>
my-nginx1-67f499d79c-j4f9k   1/1     Running    0          26h   198.18.2.250   nks-pool-1119-w-gzh   <none>           <none>
my-nginx1-67f499d79c-mqxzs   1/1     Running    1          26h   198.18.1.208   nks-pool-1119-w-gzi   <none>           <none>
my-nginx2-659945d9d8-2sggt   1/1     Running    1          26h   198.18.1.155   nks-pool-1119-w-gzi   <none>           <none>
my-nginx2-659945d9d8-cjkft   1/1     Running    0          26h   198.18.2.120   nks-pool-1119-w-gzh   <none>           <none>
my-nginx2-659945d9d8-szw59   1/1     Running    0          26h   198.18.0.173   nks-pool-1119-w-gzg   <none>           <none>
my-nginx3-694994cd8c-l4m6k   1/1     Running    1          26h   198.18.1.139   nks-pool-1119-w-gzi   <none>           <none>
my-nginx3-694994cd8c-lbqsd   1/1     Running    0          26h   198.18.2.70    nks-pool-1119-w-gzh   <none>           <none>
my-nginx3-694994cd8c-xjzkc   1/1     Running    0          26h   198.18.0.6     nks-pool-1119-w-gzg   <none>           <none>
nginx                        1/1     Running    0          26h   198.18.0.80    nks-pool-1119-w-gzg   <none>           <none>

이해를 돕기위해 결과를 한줄씩 쳐서 출력했다.

iamai 님의 shell에 대한 이해도를 볼수있었다.

나는 grep를 쓰지않고 출력하고 싶었다. 여러 엔지니어들을 보면 jsonpath로 예쁘게 깍는것이 부러웠다. 방법은 다양했다 json | jq 부터 jsonpath custom-columns 까지 방법이 많은데 나도 한번 써볼까 싶었다.

k get pod -l $(k get svc my-service1 -o=jsonpath='{..selector}' | sed 's/map//' | sed 's/:/=/' | tr -s '[[:space:]]' ' ') --show-labels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LABELS
my-nginx1-67f499d79c-g7vr7   1/1     Running   0          26h   app=my-nginx1,pod-template-hash=67f499d79c
my-nginx1-67f499d79c-j4f9k   1/1     Running   0          26h   app=my-nginx1,pod-template-hash=67f499d79c
my-nginx1-67f499d79c-mqxzs   1/1     Running   1          26h   app=my-nginx1,pod-template-hash=67f499d79c

시작부터 iamai 님과의 다른접근을 볼수있다. 나는 label로 접근했고, iamai 님은 IP로 접근했다.

selector 는 label을 기반으로 pod와 매핑되기때문에 IP가 우선이 되서는 안된다 생각했다. IP는 고정된 값이 아니므로. 그래서 label 을 사용하기로 생각했다.

[root@linuxer-bastion ~]# k get svc my-service1 -o=jsonpath='{..selector}' 
map[app:my-nginx1]
[root@linuxer-bastion ~]# k get svc my-service1 -o=jsonpath='{..selector}' | sed 's/map//' 
[app:my-nginx1]
[root@linuxer-bastion ~]# k get svc my-service1 -o=jsonpath='{..selector}' | sed 's/map//' | sed 's/:/=/' 
[app=my-nginx1]
[root@linuxer-bastion ~]# k get svc my-service1 -o=jsonpath='{..selector}' | sed 's/map//' | sed 's/:/=/' | tr -s '[[:space:]]' ' '
 app=my-nginx1

먼저 jsonpath를 이용하여 service의 selector를 찾는다 여기서 sed 명령어로 map[app:my-nginx1] 이라는 문자열을 두번 파이프라인하여 [app=my-nginx1]로 변환된다. json으로 출력한 문자열은 = -> : 으로 치환되어 표기된다. 그래서 변경해줘야 했다. 괄호를 벗겼다. 괄호를 벗은 값은 내가 처음부터 원했던 service - selector - label 이다. 이제 이값을 이용해서 pod 를 리스팅 하고 label를 보면 완성이다.

k get pod -l $(k get svc my-service1 -o=jsonpath='{..selector}' /| sed 's/map//' | sed 's/:/=/' | tr -s '[[:space:]]' ' ') --show-labels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LABELS
my-nginx1-67f499d79c-g7vr7   1/1     Running   0          26h   app=my-nginx1,pod-template-hash=67f499d79c
my-nginx1-67f499d79c-j4f9k   1/1     Running   0          26h   app=my-nginx1,pod-template-hash=67f499d79c
my-nginx1-67f499d79c-mqxzs   1/1     Running   1          26h   app=my-nginx1,pod-template-hash=67f499d79c

내가 작성한 스크립트는 폰트크기 15다

k get ep -o custom-columns=IP:.subsets[].addresses[].ip
IP
10.0.12.10
198.18.0.74
198.18.0.173
198.18.0.6

성주님께서 주신 IP 추출 팁

오랜만에 머리를 굴렸더니 재미있었다.

오늘도 같이 머리를 싸매서 고민을 해주신 봄님, iamai 님, 성주님께 감사를 드린다.

더좋은 아이디어나 생각이 있다면 얼른 결과를 공유해주시길 바란다!

즐거운 새벽되시라!

하고 누우려는데 성주님께서 주신 IP list 로 하나더 만들고 싶었다.

k get ep my-service1 -o custom-columns=IP:.subsets[].addresses[*].ip | tr "," "\n" | grep -v IP | grep -f - <(kubectl get po -o wide --show-labels) 
my-nginx1-67f499d79c-g7vr7   1/1     Running    0          27h   198.18.0.74    nks-pool-1119-w-gzg   <none>           <none>            app=my-nginx1,pod-template-hash=67f499d79c
my-nginx1-67f499d79c-j4f9k   1/1     Running    0          27h   198.18.2.250   nks-pool-1119-w-gzh   <none>           <none>            app=my-nginx1,pod-template-hash=67f499d79c
my-nginx1-67f499d79c-mqxzs   1/1     Running    1          27h   198.18.1.208   nks-pool-1119-w-gzi   <none>           <none>            app=my-nginx1,pod-template-hash=67f499d79c

성주님+iamai님의 조언을 합쳤다 중간에 grep -v IP 는 내 생각이다.

시원하게 끝내고 잔다!

정말로 좋은새벽되시라.

kubernetes-CentOS7-install

작년 10월 작성했던 install script가 달라졌다.

<#!/bin/sh
setenforce 0
sed -i --follow-symlinks 's/SELINUX=enforcing/SELINUX=disabled/g' /etc/sysconfig/selinux
swapoff -a
modprobe br_netfilter
echo '1' > /proc/sys/net/bridge/bridge-nf-call-iptables
yum install -y yum-utils device-mapper-persistent-data lvm2
yum-config-manager --add-repo https://download.docker.com/linux/centos/docker-ce.repo
yum install -y docker-ce
cat <<EOF > /etc/yum.repos.d/kubernetes.repo
[kubernetes]
name=Kubernetes
baseurl=https://packages.cloud.google.com/yum/repos/kubernetes-el7-x86_64
enabled=1
gpgcheck=1
repo_gpgcheck=1
gpgkey=https://packages.cloud.google.com/yum/doc/yum-key.gpg https://packages.cloud.google.com/yum/doc/rpm-package-key.gpg
EOF
yum install -y kubelet kubeadm kubectl
sed -i "s|ExecStart=/usr/bin/dockerd -H fd:// --containerd=/run/containerd/containerd.sock|ExecStart=/usr/bin/dockerd -H fd:// --containerd=/run/containerd/containerd.sock --exec-opt native.cgroupdriver=systemd|" /usr/lib/systemd/system/docker.service
echo "net.bridge.bridge-nf-call-ip6tables = 1" >> /etc/sysctl.conf
echo "net.bridge.bridge-nf-call-iptables = 1" >> /etc/sysctl.conf
echo "net.ipv4.ip_forward = 1" >> /etc/sysctl.conf
sysctl -p
systemctl enable docker
systemctl enable kubelet

.

큰 틀의 변화라면 작년의 클러스터 설치에선 kubeadm.conf 에서 docker와 kube의 cgroup을 변경해주는 방식이 었다면 근래에는 Docker의 Cgroup를 변경해야한다.

error: failed to run Kubelet: failed to create kubelet:
misconfiguration: kubelet cgroup driver: "systemd" is different from docker cgroup driver: "cgroupfs"

.

그렇지 않으면 위와같은 에러가 발생한다. 이에러를 피하기위해 sed 로 Docker의 systemctl service file에서 docker exec 구문에 --exec-opt native.cgroupdriver=systemd native driver의 실행을 수정해 주면된다.

변경된지 확인하는방법은

docker info | grep systemd
Cgroup Driver: systemd

.

명령어로 cgroup 를 확인할수 있다.

여기까지 확인되었으면, 작업한 Server의 스냅샷을 생성후, 스냅샷을 기반으로 워커노드3대를 생성한다.

위에작성한 스크립트는 init script 에서도 프로비저닝시에 사용할수있도록 만들었으니 그냥 사용해도 된다.

스냅샷이 잘 생성되면 kubectl init 를 하자.

kubeadm init --pod-network-cidr=10.254.0.0/16

.

init 가 끝나면 config 를 복사해준다

mkdir -p $HOME/.kube
sudo cp -i /etc/kubernetes/admin.conf $HOME/.kube/config
sudo chown $(id -u):$(id -g) $HOME/.kube/config
export KUBECONFIG=/etc/kubernetes/admin.conf

.

명령어로 복사를한다. 설치과정에서 프린팅된다 admin.conf 까지 같이 export 한다.

You should now deploy a pod network to the cluster.
Run "kubectl apply -f [podnetwork].yaml" with one of the options listed at:
  https://kubernetes.io/docs/concepts/cluster-administration/addons/

Then you can join any number of worker nodes by running the following on each as root:

kubeadm join 10.0.10.9:6443 --token 6ghues.yxwqnp87920d4arm \
	--discovery-token-ca-cert-hash sha256:49c750f19ef34b5f3ab73ceb91a2ce540a65418b693c24a1ee5acaeee2e80972 

.

다음과 같은 내용이 프린팅되는데 join 부분만 쓰면된다.

woker node에서 join한다

[preflight] Running pre-flight checks
	[WARNING Hostname]: hostname "k8s-worker-003" could not be reached
	[WARNING Hostname]: hostname "k8s-worker-003": lookup k8s-worker-003 on 169.254.169.53:53: no such host
[preflight] Reading configuration from the cluster...
[preflight] FYI: You can look at this config file with 'kubectl -n kube-system get cm kubeadm-config -o yaml'
[kubelet-start] Writing kubelet configuration to file "/var/lib/kubelet/config.yaml"
[kubelet-start] Writing kubelet environment file with flags to file "/var/lib/kubelet/kubeadm-flags.env"
[kubelet-start] Starting the kubelet
[kubelet-start] Waiting for the kubelet to perform the TLS Bootstrap...

This node has joined the cluster:
* Certificate signing request was sent to apiserver and a response was received.
* The Kubelet was informed of the new secure connection details.

Run 'kubectl get nodes' on the control-plane to see this node join the cluster.

.

다음 메시지가 나오면 정상적으로 클러스터가 셋팅된 것이다.

echo 'source <(kubectl completion bash)' >>~/.bashrc
kubectl completion bash >/etc/bash_completion.d/kubectl
echo 'alias k=kubectl' >>~/.bashrc
echo 'complete -F __start_kubectl k' >>~/.bashrc

.

bash 에서 shell 자동완성 설정까지 넣어주면 완성이다.

TAB을 이용한 자유를 누려보자!

K8s-CNI-정리

https://cloud.google.com/kubernetes-engine/docs/concepts/network-overview?hl=ko

오리뎅이 님의 쿠버네티스 네트워킹 PPT 자료입니다.

오리뎅이 님의 쿠버네티스 네트워킹 PPT 자료입니다.

두가지 URL로 CNI와 iptables의 연관 관계를 이해하고 정리 해보려한다.

CNI는 L2 / L3 / overlay 를 구성 및 k8s 의 네트워크을 관리한다.
이 때 k8s의 라우팅은 kube-proxy를 이용해서 iptables 룰을 관리한다.

iptables는 netfilter의 라우팅 룰을 편리하게 사용할수 있도록 만들어진 인터페이스고, 실제로는 패킷을 필터링하고 라우팅하는 역할은 netfilter가 맡게된다.

-_-;

ipvs 모드는 또 다시 생각해보자.

https://docs.projectcalico.org/networking/enabling-ipvs

일단 k8s 의 iptables_mode가 굉장히 비 효율적인 방법이라는건 알 수 있었다.

k8s-cmd

yum install bash-completion -y
source <(kubectl completion bash)
echo "source <(kubectl completion bash)" >> ~/.bashrc

kubectl apply -f 파일명
kubectl apply -k ./경로

kubectl create -f 파일

kubectl get node
kubectl get pods
kubectl get pods --all-namespaces
kubectl get service
kubectl get events
kubectl get pv
kubectl get pvc
kubectl get pc

kubectl delete -f 파일명
kubectl delete -k 파일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