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 key -> cmd
ssh 명령어 지원.
먼저 제소개를 하자면, 시스템엔지니어로 10년차, AWS를 다룬지는 3년이 됐습니다.
요즘 시스템 엔지니어로 시작을 꺼리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유는 클라우드가 급 부상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물어보면 대부분 클라우드 엔지니어를 하고싶다. 말합니다. 그런데 클라우드 엔지니어는 뭐고, 시스템 엔지니어는 뭐길래 이렇게 이야기가 많을까요?
그럼 두 직군의 차이부터 한번 이야기해봐야 할거 같습니다.
시스템 엔지니어는 클라우드가 생기기 이전부터 시스템 전반을 책임지는 역할로, 주로 셋팅과 구성 그리고 트러블슈팅을 맡아서 하던 직군입니다.
클라우드 엔지니어는 클라우드를 가지고 인프라를 구성하고 트러블 슈팅을 합니다.
어? 뭐가 다른거죠? 궁금하실 텐데요. 사실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시스템 엔지니어가 클라우드를 사용해서 시스템을 구축할수도 있는거고 클라우드 엔지니어가 지원을 위해 온프렘의 서버를 보기도 해야합니다.
사실 이 두 직군의 차이는 시작 지점이 어디에 있냐의 차이일 뿐 하는일의 근본적인 차이는 없습니다. 그렇다면 뭘 배워야 하고, 뭘해야 할지가 중요할텐데요.
먼저 리눅스가 중요합니다. 정말 중요합니다.
클라우드 엔지니어로 시작하게 되면 리눅스를 깊게 다루지 않게 됩니다. 이유는 클라우드 플랫폼 내에서 기술지원을 하기때문에 중점적으로 배우는것은 플랫폼의 사용법과 구성인것입니다. 거기에 lock-in 이 발생하게 됩니다. 보통 lock-in 이라 하면 다른 플랫폼으로 떠날수 없는 서비스나 사이트를 말하는것인데, 이 문제점이 사람에게도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부분이 나쁘다는건 아닙니다. 저도 AWS를 정말 좋아하니까요. 하지만, 제공되는 서비스만 사용해서는 사용자 이상으로 나아갈 수 없게됩니다. 그래서 언제든, 탈 플랫폼을 하기위해선 유연하게 여러 솔루션을 사용하고 배우는 기반이 있어야 합니다.
그것이 바로 엔지니어 에겐 리눅스입니다. 그럼 리눅스로 뭘해야 할까요?
일단 명령어에 익숙해 져야 합니다. 리눅스의 상태를 확인하고, 프로세스의 상태를 확인할수 있는 방법을 알아야 합니다.
그 다음은 로그를 보고 서비스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전의 엔지니어가 여기까지 했다면 요즘의 엔지니어는 로그를 가공하고 지표로서 사용할 수 있는 능력까지 길러야 합니다.
너무 두루뭉실 했나요? 그럼 기업에서 요구하는 사항으로 예를 들어볼까요?
선호 자격 요건입니다.
Tomcat, Nginx, IIS, DB, Mail, DNS 등 구축 및 운영 관리 경험을 보유한 분
Shell Script & Query 사용 경험이 있는 분
네트워크, 방화벽, VPN등 네트워크 및 보안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분
IaC (Infra as a code)등의 구축 경험 및 OSS 등의 솔루션 사용 경험이 있는 분
사실 선호 자격이라 적었지만, 선호자격이라기 보단 10년차 IT 인프라 운영 직무에 있는 사람에겐 반드시 겪었어야 하는 과정의 요건일 겁니다.
그럼 정리해볼까요.
클라우드 엔지니어와 시스템 엔지니어는 시기상의 문제입니다.
결국 엔지니어는 IT 인프라를 다루는 포지션이 될것입니다.
배워야하는 순서라면 시스템의 코어인 리눅스부터 네트워크까지를 전체로 다우는 교육이 좋습니다.
기본이 튼튼하면 클라우드도 금방 배울수 있습니다.
그럼 빅히트의 요강을 보고 배워야 하는 우선 순서를 알아볼까요.
이정도 순서로 배워야할것들을 정할수 있습니다. 서비스부터 점점 인프라까지 배우는것이죠.
한번에 모두를 다할순 없으니 시간이 될때마다 개념이라도 알아두시는게 좋습니다.
그럼 이만 시작하는 엔지니어를 위한 짧은 글을 마치겠습니다.
워드 프레스를 사용하는 사이트중에 이런메시지가 뜬다
이 사이트의 보안 연결(HTTPS)은 완벽하지 않습니다.
이건 모든 컨텐츠가 HTTPS로 전송되지 않고 HTTP로 전송되는 컨텐츠가 있다는 이야기다.
이경우에 모든 컨텐츠를 HTTPS 로 전송하도록 몇줄만 넣어주면 된다.
vi 로 wp-admin.php 를 열고 <?php 뒤에 붙여 넣어주자.
--소스가 waf에 걸려서 업로드가 안된다-_-; 마음에 여유가 생기면...--
https://wordpress.stackexchange.com/questions/170165/wordpress-wp-admin-https-redirect-loop
여기서 57번 답변을 참조하자
이것만 넣으면 모든 컨텐츠가 HTTPS 로 전송된다.
raid f1은 sysnology에서 만든 독자 raid 이다.
raid f1 백서다.
지금까지의 레이드는 디스크에 적합한 레이드였다. 그래서 raid controller 를 이용한 레이그 구성시에 SSD를 이용할 경우 정상적으로 퍼포먼스를 사용하지 못하거나 controller의 cache 를 disable 해서 사용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런 문제점들을 개선하기위해 새로운 레이드를 sysnology에서 만든것같다.
RAID F1 F는 flash - 1은 disk 를 나타낸다고 한다.
F1은 raid5 의 방식을 차용한것으로 보입니다.
백서에선
요약하면 Synology RAID F1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합니다.
성능은 RAID 5에 가깝습니다.
지능형 RAID 재 구축
기존 RAID 알고리즘보다 뛰어난 플래시 내구성
8 %의 낮은 용량 오버 헤드로 높은 스토리지 효율성 (12 개의 SSD가있는 RAID F1)
페리티가 raid5보다 마지막 블록에 더 많은것으로 보입니다.
capacity of a RAID F1 array is N-1 times of smallest drive, where N is the stripe width or the number of disks.
결론은 페리티가 고정되어 읽기쓰기를 진행하여 모든 SSD가 한꺼번에 장애포인트가 되는것이 아닌 고정된 페리티를 사용하여 전체가 아닌 하나의 SSD의 수명을 소모시키는 방식입니다.
Since each write-operation involves writing to the parity block, it is expected that
the parity block will be worn out in the first place. This uneven parity distribution
approach will lead to that one SSD reaches its lifespan earlier than others, instead of
making all SSDs reach the end of their lifespan at the same time. When one SSD fails,
the customer can replace it with a new one.
The characteristics of RAID F1 is similar to RAID 5. Parity blocks are XOR’ed of all
other data blocks. One block is used as parity block within each stripe, so the usable
capacity of a RAID F1 array is N-1 times of smallest drive, where N is the stripe width
or the number of disks.
장단점이 있는방법으로 사실 뭐가 더 우월하다 보긴 어렵지만 장애포인트에 있어서 하나의 SSD만 교체하면된다는 부분은 매우 긍정적으로 생각할수 있을거 같습니다.
블로깅이 좀 시들해졌다..
AWS Devops pro 시험 준비를 시작하며 쫒기는 느낌이 들면서 다른 모든것에 소홀했다.
생소한것을 배우는건 즐거운 일이지만 거기에 목적이 들어가고 겹쳐지면 초초해진다.
이번엔 내가 페이스를 놓쳤다.
급해지기만했다.
블로깅을 손에서 놓으니까 뭔가 루즈해지는게 치열하지 않았다.
그래서 에드센스를 추가하고 동기를 얻어보려 했는데..
생각보다 애매했다..ㅋㅋㅋ
일단 유지해보고 반응을 봐야겠다.